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자기 학습 시간 |
영역 | 학위 |
이수 학년 |
비고 | 언어 |
개설 여부 |
---|---|---|---|---|---|---|---|---|---|
CMC4001 | 수학적문제해결방법론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 | No | ||
본 교과목에서, 학생들은 수학교육 분야의 연구를 수행한다. 학생들은 우선 수학교육 분야에서 본인이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를 탐구하고,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작성하며, 이에 답하기 위해서 어떤 연구를 설계해야 하는지를 논의한다. | |||||||||
CMC4001 | 수학적문제해결방법론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수학교육학전공 | - | No | |
본 교과목에서, 학생들은 수학교육 분야의 연구를 수행한다. 학생들은 우선 수학교육 분야에서 본인이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를 탐구하고,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작성하며, 이에 답하기 위해서 어떤 연구를 설계해야 하는지를 논의한다. | |||||||||
CMC4002 | 수학교육연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 | No | ||
본 교과목에서, 학생들은 수학교육 분야의 연구를 수행한다. 학생들은 우선 수학교육 분야에서 본인이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를 탐구하고,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작성하며, 이에 답하기 위해서 어떤 연구를 설계해야 하는지를 논의한다. | |||||||||
CMC4002 | 수학교육연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수학교육학전공 | - | No | |
본 교과목에서, 학생들은 수학교육 분야의 연구를 수행한다. 학생들은 우선 수학교육 분야에서 본인이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를 탐구하고,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작성하며, 이에 답하기 위해서 어떤 연구를 설계해야 하는지를 논의한다. | |||||||||
CMC4003 | 데이터사이언스와교육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1-2 | 영 | Yes | |
본 교과는 예비교사와 교육전문가의 데이터 역량 함양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사고와 결론 도출 과정을 다양한 사례와 실습 중심으로 체험한다. 강의 전반부에서는 먼저 자료 수집의 중요성과 한계를 강조하고 통계 분석 소프트웨어의 기본 사용법을 익힌다. 강의 후반부에서는 자료의 시각화, 요약, 집단 비교, 관계 탐색, 예측, 불확실성, 그리고 편향 가능성을 학습한다. | |||||||||
CMC4003 | 데이터사이언스와교육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1-2 | 수학교육학전공 | 영 | Yes |
본 교과는 예비교사와 교육전문가의 데이터 역량 함양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사고와 결론 도출 과정을 다양한 사례와 실습 중심으로 체험한다. 강의 전반부에서는 먼저 자료 수집의 중요성과 한계를 강조하고 통계 분석 소프트웨어의 기본 사용법을 익힌다. 강의 후반부에서는 자료의 시각화, 요약, 집단 비교, 관계 탐색, 예측, 불확실성, 그리고 편향 가능성을 학습한다. | |||||||||
CMC5005 | 수학적모델링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이 과목에서는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수단으로서 수학적 모델을 구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관련된 여러 가지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이 과목의 수업운영은 학생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토론한 다음 교수가 정리, 보완하는 형식을 따른다. | |||||||||
CMC5005 | 수학적모델링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수학교육학전공 | - | No | |
이 과목에서는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수단으로서 수학적 모델을 구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관련된 여러 가지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이 과목의 수업운영은 학생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토론한 다음 교수가 정리, 보완하는 형식을 따른다. | |||||||||
CMC5011 | 수학교육비교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한 | Yes | ||
이 과목에서는 서로 다른 상황에 있는 수학교육을 이해하기 위하여 그들을 비교 연구하는 이론과 방법을 알아보고 그 능력을 함양하게 한다. 이 과목의 수업운영은 학생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토론한 다음 교수가 정리, 보완하는 형식을 따른다. | |||||||||
CMC5011 | 수학교육비교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수학교육학전공 | 한 | Yes | |
이 과목에서는 서로 다른 상황에 있는 수학교육을 이해하기 위하여 그들을 비교 연구하는 이론과 방법을 알아보고 그 능력을 함양하게 한다. 이 과목의 수업운영은 학생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토론한 다음 교수가 정리, 보완하는 형식을 따른다. | |||||||||
CMC5020 | 수학교육연구동향특강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이 과목에서는 국내외적으로 수학교육의 연구가 진행되는 동향을 분석해보고 수학교육 연구가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예견하고 적절한 분야를 연구할 수 있게 한다. 이 과목의 수업운영은 학생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토론한 다음 교수가 정리, 보완하는 형식을 따른다. | |||||||||
CMC5020 | 수학교육연구동향특강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수학교육학전공 | - | No | |
이 과목에서는 국내외적으로 수학교육의 연구가 진행되는 동향을 분석해보고 수학교육 연구가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예견하고 적절한 분야를 연구할 수 있게 한다. 이 과목의 수업운영은 학생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토론한 다음 교수가 정리, 보완하는 형식을 따른다. | |||||||||
CMC5057 | 수학적사고와문제해결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이 과목에서는 수학교육의기반을이루는수학적사고의유형,수학적사고력과문제해결력을신장하기위한학습지도및평가에관한방안을연구한다. 이 과목의 수업운영은 학생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토론한 다음 교수가 정리, 보완하는 형식을 따른다. | |||||||||
CMC5057 | 수학적사고와문제해결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수학교육학전공 | - | No | |
이 과목에서는 수학교육의기반을이루는수학적사고의유형,수학적사고력과문제해결력을신장하기위한학습지도및평가에관한방안을연구한다. 이 과목의 수업운영은 학생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토론한 다음 교수가 정리, 보완하는 형식을 따른다. | |||||||||
CMC5058 | 수학교육심리학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이 과목에서는 이과목에서는 수학학습과정에서 보이는 학습자의 심리적인 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에 관한 최근의 문헌을 조사,연구한다. 이 과목의 수업운영은 학생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토론한 다음 교수가 정리, 보완하는 형식을 따른다. | |||||||||
CMC5058 | 수학교육심리학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수학교육학전공 | - | No | |
이 과목에서는 이과목에서는 수학학습과정에서 보이는 학습자의 심리적인 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에 관한 최근의 문헌을 조사,연구한다. 이 과목의 수업운영은 학생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토론한 다음 교수가 정리, 보완하는 형식을 따른다. | |||||||||
CMC5059 | 수학교육과정론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이 과목에서는 수학교육 과정의 본질과 개발에 관한 이론을 연구하고 역사적으로 중요한 수학교육과정의 특성을 분석한다. 이 과목의 수업운영은 학생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토론한 다음 교수가 정리, 보완하는 형식을 따른다. | |||||||||
CMC5059 | 수학교육과정론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수학교육학전공 | - | No | |
이 과목에서는 수학교육 과정의 본질과 개발에 관한 이론을 연구하고 역사적으로 중요한 수학교육과정의 특성을 분석한다. 이 과목의 수업운영은 학생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토론한 다음 교수가 정리, 보완하는 형식을 따른다. | |||||||||
CMC5060 | 수학교재연구특강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이 과목에서는 선진국의 중등수학교재와 우리나라 수학교과서를 비교하여 그 특성을 수학교육철학의입장에서분석하고그특징을연구한다. 이 과목의 수업운영은 학생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토론한 다음 교수가 정리, 보완하는 형식을 따른다. | |||||||||
CMC5060 | 수학교재연구특강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수학교육학전공 | - | No | |
이 과목에서는 선진국의 중등수학교재와 우리나라 수학교과서를 비교하여 그 특성을 수학교육철학의입장에서분석하고그특징을연구한다. 이 과목의 수업운영은 학생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토론한 다음 교수가 정리, 보완하는 형식을 따른다. | |||||||||
CMC5063 | 수학교육학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이 과목에서는 수학교육학을 연구하는 방법과 절차에 대하여 연구하며, 수학교육학의 특성을 알아보고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이 과목의 수업운영은 학생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토론한 다음 교수가 정리, 보완하는 형식을 따른다. | |||||||||
CMC5063 | 수학교육학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수학교육학전공 | - | No | |
이 과목에서는 수학교육학을 연구하는 방법과 절차에 대하여 연구하며, 수학교육학의 특성을 알아보고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이 과목의 수업운영은 학생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토론한 다음 교수가 정리, 보완하는 형식을 따른다. | |||||||||
CMC5068 | 기하학강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기하학의 여러가지 주제 중에서 몇가지를 선택하여 학습한다:평면과 공간상의 곡선, 곡선의 곡률, 곡선의 대역적 성질들, 3차원에서의 곡면, 제1차 형식, 제 2차 형식, 곡면의 곡률, 가우스곡률, 측지선, 최소곡면, 가우스의 위대한 정리, 가우스-보네 정리 등 | |||||||||
CMC5068 | 기하학강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수학교육학전공 | - | No | |
기하학의 여러가지 주제 중에서 몇가지를 선택하여 학습한다:평면과 공간상의 곡선, 곡선의 곡률, 곡선의 대역적 성질들, 3차원에서의 곡면, 제1차 형식, 제 2차 형식, 곡면의 곡률, 가우스곡률, 측지선, 최소곡면, 가우스의 위대한 정리, 가우스-보네 정리 등 | |||||||||
CMC5105 | 수학교육통계분석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 | No | |
이 과목은 ‘수학교육연구방법론’을 바탕으로 하며, 특별히 수학 교육 연구를 위한 양적 연구 방법론에 관하여 다룬다. 기술통계와 추론통계에 대한 내용을 기본으로 하며, 구조 방정식 분석, 위계적 선형 모형 등 다양한 발전된 통계 방법 중 일부를 선택하여 다루도록 한다. | |||||||||
CMC5105 | 수학교육통계분석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수학교육학전공 | - | No |
이 과목은 ‘수학교육연구방법론’을 바탕으로 하며, 특별히 수학 교육 연구를 위한 양적 연구 방법론에 관하여 다룬다. 기술통계와 추론통계에 대한 내용을 기본으로 하며, 구조 방정식 분석, 위계적 선형 모형 등 다양한 발전된 통계 방법 중 일부를 선택하여 다루도록 한다. | |||||||||
CMC5107 | 수학교육연구방법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 | No | |
이 과목에서는 수학교육에 관한 여러가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적절한 연구이론과 방법을 탐구하고 이를 적용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이 과목의 수업운영은 학생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토론한 다음 교수가 정리,보완하는 형식을 따른다. | |||||||||
CMC5107 | 수학교육연구방법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수학교육학전공 | - | No |
이 과목에서는 수학교육에 관한 여러가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적절한 연구이론과 방법을 탐구하고 이를 적용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이 과목의 수업운영은 학생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고 이를 중심으로 토론한 다음 교수가 정리,보완하는 형식을 따른다. | |||||||||
CMC5108 | 수학교수방법론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이 과목은 ‘수학 교수·학습 이론’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며 그것을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한 실제 연구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각자 관심 있는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문제를 찾고 이에 관한 연구 논문을 작성하여 발표하고 피드백을 받는다. | |||||||||
CMC5108 | 수학교수방법론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수학교육학전공 | 한 | Yes |
이 과목은 ‘수학 교수·학습 이론’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며 그것을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한 실제 연구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각자 관심 있는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문제를 찾고 이에 관한 연구 논문을 작성하여 발표하고 피드백을 받는다. |